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 독감 예방접종 필수

기사승인 2019.11.04  10:58:31

공유
default_news_ad1

한국건강관리협회 충북·세종지부는(원장 백상현, 이하 “건협 충북․세종지부”)는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한 예방접종으로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매년 9월부터 전국 16개 시·도지부 건강증진의원을 통해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독감(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코, 인후, 기관지, 폐 등)를 통하여 감염되어 생기는 병으로, 유행 시기는 보통 12월에서 다음해 4월이며, 예방접종 후 방어항체 형성까지 2주 정도 걸리므로 10월~11월 중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일반적으로 열감(발열), 두통, 전신쇠약감, 마른기침, 인두통, 코막힘 및 근육통 등이 인플루엔자의 흔한 증상이지만, 만성기관지염이나 만성호흡기질환, 만성심혈관계 질환의 경우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악화될 수 있고, 특히 어르신, 소아, 만성질환자 등에서 폐렴 등 합병증이 잘 발생하여 이로 인해 입원하거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어 이들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건협 충북․세종지부 건강증진의원 전영도 순환기내과전문의는“인플루엔자 백신의 면역력은 접종한 다음해에 감소하고, 또한 해마다 유행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측되는 균주를 포함한 독감 백신을 매년 접종해야 한다.”며, “많은 사람이 독감접종을 할수록 예방효과도 높아진다. 특히 예방접종이 독감으로 인한 만성질환의 악화 및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만큼 만성질환자를 비롯한 독감 고위험군은 반드시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건협 건강증진의원은 독감예방접종 외에도 동시 접종하면 폐렴으로 인한 입원율과 사망률 감소효과가 있는 폐렴구균 예방접종,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환절기에 걸리기 쉬운 대상포진 예방접종 등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조시훈 기자 bokji@bokjinews.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