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면연력 저하가 보내는 몸의 신호, 대상포진

기사승인 2021.02.25  11:56:59

공유
default_news_ad1
대상포진

◇ 통증과 붉은 발진, 대상포진 의심 징후
47세 김건강 씨는 친구가 대상포진에 걸려 고생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고민에 빠졌다. 안 그래도 왼쪽 아랫배가 며칠 전부터 아픈 것 같은데 대상포진은 아닌지,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는데 언제 맞아야 하는지 걱정이 되어 병원을 찾았으나 대상포진은 아니라는 진단이었다.

한편 56세 한통증 씨는 5일 전부터 왼쪽 어깨가 아파 오십견이 걱정되어 정형외과를 찾아 검사를 받았다. 결과를 기다리던 중 오늘 아침 붉은 발진과 물집이 생겨 대상포진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위의 경우는 실제 진료실에서 많이 접하는 상황이다. 대상포진에 대한 건강정보가 많이 알려지면서 일반인 사이에서 약간의 통증 도는 붉은 발진에 대해 대상포진을 염려하는 경우가 많이 늘었다. 그러나 실제 대상포진이 아닌 경우도 많고, 반대로 통증이 심해져 나중에야 대상포진이 확인되기도 한다.

대상포진은 수도-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에 의해 피부에 통증을 동반한 물집이 생기는 질환이다. 과거 수두에 걸린 적이 있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한 사람에게는 피부의 신경 분포에 따른 구역, 즉 피부 신경절에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일생 동안 잠복한다. 잠복해 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 신경 손상과 염증을 유발하고, 신경을 따라 피부로 이동하여 피부에 특징적으로 모여있는 물집들을 만든다.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는 고령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지만 스트레스, 피곤함, 컨디션 저하 등과도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다.

◇ 대상포진이 진행되는 과정
대상포진이 발병하면 피부의 특징적인 물집 발생보다 평균 4~5일 전부터 해당 피부 신경절 부분에 통증, 가려움, 감각 저하 등의 이상 감각이 나타날 수 있는데, 통증은 따가움, 깊은 통증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드물게는 두통, 발열 등 전신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피부발진이 생기기 전에 통증이 먼저 생기므로 가슴 부위에 대상포진이 생기는 경우 심장질환이나 소화기 질환으로 오인하거나, 관절 부위에 생기는 경우 관절통 관련 질환으로 오해하다가 피부발진이 생긴 뒤에야 대상포진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흔하다. 피부발진은 침범한 신경을 따라 신체의 한쪽에 국한된 띠 모양으로 주로 발생하며 붉은 반점, 물집, 고름 물집이 생긴 뒤 1~1주일이 지나면 딱지로 변하고 떨어진다. 초반 붉은 반점이나 물집은 초기 3~4일, 길게는 일주일 정도 새로운 병변이 계속 발생할 수 있고 딱지가 생기는 기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3주 정도 지속된다.

눈 주변이나 코, 이마 근처에 대상포진이 발생한 경우 바이러스의 안구 신경 침범 가능성이 있어 추가적인 안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고 귀 주변이나 뺨 근처에 발생한 경우에는 심한 귀통증, 안면 마비, 이명, 난청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이비인후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다.

◇ 대상포진에 대한 두려움‘통증’
대상포진에 대해 일반적으로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통증으로 크게 피부 병변과 함께 발생하는 급성 통증, 발진이 없어진 뒤에도 지속되는 포진 후 신경통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 병변의 정도와 급성 통증의 정도는 비례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고령의 환자가 더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포진 후 신경통도 흔한 편이다. 포진 후 신경통도 흔한 편이다. 포진 후 신경통은 피부 병변이 호전된 이후 2~3개월이 지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로 가장 흔하면서도 견디기 힘든 합병증이다.

50세 이하에서는 비교적 드물지만 60세 이상에서 반수 이상이 경험한다. 고령이 아니라도 급성기 통증이 심했거나 피부발진이 심했던 경우, 눈의 침범이 있었던 경우에도 생기기 쉽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는데 50%정도는 3개월 이내에 70%정도는 1년 이내에 호전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증이 지속되는 동안 진통제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 대상포진 치료와 예방법
대상포진은 특징적인 통증과 피부병변의 임상 양상으로 진단하며 필요 시 피부과에서 물집을 긁어 피부 세포 변화를 검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혈액검사는 결과가 나오기 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두를 앓았던 사람에서는 비슷한 검사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대상포진 진단에는 필요하지 않다.

대상포진의 치료는 바이러스 억제와 통증 완화가 주목적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우리 몸에 침입하면 완전히 박멸할 수 없다. 항상 잠복해 있으므로 대상포진을 치료하더라도 바이러스는 체내에 남아있으며 드물지만 재발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항바이러스제를 1주일간 복용하게 되며 입원한 환자의 경우 주사로 치료할 수도 있지만 바르는 항바이러스 연고는 효과가 없다. 통증이 발생한 이후 피부발진이 생기기 전 또는 피부 병변 발생 초기에 투여하는 경우 통증의 기간을 줄이고 포진 발병 후 신경통의 발생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은 적극적으로 치료하며 강한 진통제, 신경통 치료제 등을 사용한다. 그 외에는 온찜질, 헬륨 네온 레이저광치료, 스테로이드 병변 내 주사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2006년 미국 식약처에서 첫 대상포진 백신이 승인된 이후 60세 이상 건강한 사람에게 대상포진의 병력과 무관하게 예방접종을 권하였다. 예방접종을 시행하더라도 대상포진은 여전히 생길 확률이 있으나 대상포진 증상의 중증도나 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 빈도 및 정도를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그러나 수두를 앓지 않았고 수도에 대한 예방접종도 받지 않은 사람은 수두의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것이 맞으며, 급성기 대상포진이나 포진 후 신경통의 치료를 위해서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는다. 대상포진을 앓은 뒤 예방접종을 할 수 있는 시기는 아직 정해진 바는 없지만 적어도 기존 대상포진이 완전히 호전된 이후 맞는 것을 권하고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2월호 건강소식지
                 글 : 김희주 가천대 길병원 피부과 교수

 

조시훈 기자 bokji@bokjinews.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