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7983건이던 치매환자 실종 접수, 지난해 1만4654건으로 늘어
지난해 말 치매 환자 실종 접수 건수가 약 1만 5000건으로 10년 전보다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치매 환자 실종도 늘고 있지만 지문 등록 건수는 60세 이상 치매환자의 5% 미만에 불과했다.
16일 경찰청 내부 행정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치매 환자(연령불문) 실종 접수 건수는 12월 말 기준 1만 4677건이었다.
2023년 이전 발생 건을 포함해 지난해 해제된 건은 1만 4654건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계속해서 추적·수사 중인 건은 총 45건이었다. 2023년 접수 실종 사건 중 미해제 건은 23건, 2022년 10건, 2021년 9건, 2020년 2건, 2019년 1건 등이었다.
치매 환자 실종 접수는 고령인구 증가와 함께 꾸준히 느는 추세다. 10년 전인 2013년 7983건에서 2배가량 증가했다. 2014년엔 8207건, 2016년 9869건으로 1만 명을 밑돌았지만 2017년(1만 308건) 1만 건을 넘기 시작해 2022년(1만 4527건)엔 1만 4000명대에 도달했다.
보건복지부의 시군구별 치매 현황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1193만 9384명에서 2022년 1313만 2163명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60세 이상 치매환자 수도 2020년 86만 3542명에서 2021년 91만 727명, 2022년 95만 351명으로 급격히 늘고 있다.
경찰청은 치매환자 실종 사건 발생 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문 등 사전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의무가 아닌 자율로 시행되고 있어 치매환자 규모에 비해 낮은 등록률을 나타내고 있다.
지문 등 신체정보를 등록한 실적은 2020년 2만 7244명에서 2022년 3만 3150명, 2023년 4만 737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이는 60세 이상 치매 환자 규모의 5% 미만에 불과하다.
우리나라가 내년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기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는 만큼 치매 환자 실종 대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허준수 숭실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옷에 인식표를 붙이거나 지문, 홍채를 등록하는 등 치매 환자를 빨리 찾기 위한 여러 기술이 있지만 어르신들의 인권과도 연관된 문제"라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치매 어르신을 집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체계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지역마다 '치매안심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예산이나 인력 문제 때문에 환자 검진 사업 외에 돌봄, 가족 부양자 보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며 "예산을 확보하고 전문인력을 배치해 배회하는 치매 노인들이 빠르게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문선 기자 moonsun963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