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교통약자 전용구역’ 없는 원주공항, 국내 공항 중 유일

기사승인 2025.08.26  09:16:27

공유
default_news_ad1

국내선 항공은 도시 간 이동 수단 중 하나로, 교통 혼잡을 피할 수 있어 직장인과 여행객이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다. 항공 통계에 따르면, 국내선은 1년간 국내선 여객기 이용객 현황(2024.1. ~ 2025. 1.): 인청공항(528,749명), 한국공항공사(33,689,249명) 
 3421만 7998명에 달했으며, 김포,제주,김해(부산)로 가는 이용객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원주공항은 현재 제주 노선만 운항해 이용 선택권이 제한적이다.

원주시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원주공항 국제공항 승격사업’을 추진 중이다. 원주시가 실시한 ‘원주공항 이용환경 개선 및 기능재편에 관한 시민 의견’ 설문조사 결과, 이용객 1,501명 중 국제공항 필요성을 77.8%가 응답했고, 90.8%는 승격 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문제는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이 부족하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9조는 공항을 포함한 여객시설에 이동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원주공항은 휠체어 대여와 이동보조서비스, 호출 버튼(Help Point)만 제공할 뿐, 교통약자 전용 승·하차 구역이 없다. 

2023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교통약자는 전체 인구의 30.9%에 달하며, 이 중 장애인은 264만 명으로 고령자 다음으로 많다. 원주공항의 이용객은 50대 26.8%와 60대 22.7%가 높은 비중을 차지해 교통약자 서비스 강화가 절실하다.

원주공항은 군·민 겸용 공항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여객터미널과 활주로가 약 1.7km 떨어져 있는 단절 구조이다. 이로인해 승객은 전용 버스를 이용해 약 5분간 이동한 뒤, 공군기지 문을 지나 계류된 항공기에 탑승해야 한다. 특히, 교통약자의 편의를 위해 저상버스와 탑승장비를 통해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교통약자의 불편과 안전 문제를 더욱 세심히 고려해야 한다.  유동 인구와 차량 통행이 많은 공항의 특성상, 교통약자의 이동 접근성과 안전성 확보는 필수적이다.

한편,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하는 공항은 교통약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우대 전용 출국장, 이동 서비스, 휠체어 대여, 주차 대행, 호출 버튼(Help Point), 교통약자 서비스 센터 등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통약자 전용 승·하차 구역은 단순 차량 접근 편의뿐만 아니라, 교통약자 서비스 센터 등 다양한 교통약자 서비스와 연계돼 종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한국공항공사 원주공항과 원주시 교통행정과에 ▲교통약자 서비스 마련▲공항1층 출입구에 교통약자를 승·하차 공간 확보 ▲식별 가능한 색상의 안내표지판 설치 ▲ 공항 내 동선 접근성 확보할 것을 요청했다.

조시훈 기자 bokji@bokjinews.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