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검사·병역판정검사 결과 55개 항목 데이터 제공
![]() |
보건복지부가 병무청과의 협업을 통해 공공기관 간 보건의료 데이터 연계 기반을 확대하면서, 청년 집단 대표성을 갖춘 병무청 데이터를 활용한 청년 건강관리와 정책 수립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복지부는 1일 병무청이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의 제10번째 참여 기관으로 새로 합류한다고 밝혔다. 병무청은 신체검사기본항목, 병역판정검사결과 2종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며, 혈압, 혈당 등 총 55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주요 보건의료 공공기관 10곳이 참여하고 있으며, 기관 간 데이터를 가명처리 후 연계하여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다. 병무청이 참여함에 따라 청년층 표본을 포함한 데이터를 활용해 △청년 건강 수준 모니터링 △질병 발생 요인 분석 △맞춤형 예방정책 개발 등 청년층 건강증진 연구가 가능해졌다.
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정보원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오는 30일까지 '2025년 제3차 보건의료 결합 데이터 활용 신청'을 접수한다. 연구자들은 플랫폼 누리집에서 10개 기관이 제공하는 72종의 데이터 세트(총 1만 6823개 항목)를 열람하고 연구 목적에 맞는 자료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 절차는 △연구자 신청 △통합 사전검토 △연구평가위원회 및 기관 IRB(기관윤리심의위원회) 심의 △데이터 결합 및 가명처리 △반출 적정성 심의 △폐쇄환경 활용 순으로 약 6개월이 소요된다. 플랫폼을 통한 데이터 활용은 폐쇄망 환경 내에서만 허용되며, 가명처리된 데이터만 반출할 수 있다.
데이터 활용 예시로는 △고위험군 및 취약계층 암 예방 가이드라인 개발, △신장이식 수혜자 및 투석 환자의 예후 분석 등이 있다. 이 경우 질병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건보공단의 건강검진 및 사망정보, 심평원의 진료내역, 통계청의 사망통계 등 다양한 기관 데이터가 결합해 제공된다.
복지부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해 향후 질병 예방, 치료 효과 분석, 보건의료 정책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기관 간 데이터 연계를 통해 국민 건강관리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청년·고령층 등 맞춤형 보건정책 개발을 위한 연구 기반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희라 기자 heera293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