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희망친구 기아대책은 30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2025 가정밖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 
국내 최초의 국제구호개발 NGO 희망친구 기아대책(회장 최창남)은 지난 30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2025 가정밖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가정밖청소년, 보호 공백을 넘어 연결과 자립으로’를 주제로 진행됐다. 보호체계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의 현실을 조명하고, 자립 지원의 접근성·지속성·통합성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정책적 과제를 살펴봤다.
행사는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사)한국청소년복지시설협회가 공동 주관하고, ▲더불어민주당 김한규·서영교·임미애 의원,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이 공동 주최했다. 전국 청소년복지시설 종사자와 당사자, 시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기조발제로는 서울시립청소년이동쉼터 김범구 소장이 ‘고위험군 가정밖청소년, 지속 가능한 지원 프로토콜을 세우다’를 주제로 발표했으며, 이어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류정희 연구원이 ‘제도 밖 거리에 머무는 아이들, 권리 기반의 지속적 자립지원으로’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토론 세션은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이지선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현장 실무자, 연구자, 청소년 당사자가 함께 ▲법·제도 미비 ▲낙인 해소 ▲민관 협력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논의는 특히 가정 밖 청소년의 보호 공백을 줄이고, 이들의 자립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실질적 방안에 초점을 맞췄다.
참석자들은 먼저 접근성 측면에서 보호자 통보 의무 등 제도적 장벽을 완화하고, 청소년이 두려움 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친화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속성 측면에서는 단기적 보호를 넘어 고위험군 청소년에 대한 장기 개입과 퇴소 이후 연속 지원, 나아가 청소년 스스로 자립 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 참여 기반 구조의 중요성이 논의됐다. 아울러 통합성 측면에서는 부처 간 분절을 해소하고, 현장·연구·정책·민간이 함께 협력하는 통합 거버넌스 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됐다.
기아대책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가정밖청소년의 권리를 중심에 둔 장기적 개입과 표준화된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시설 내 고위험군 청소년을 위한 맞춤형 지원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토론 결과를 바탕으로 「고위험군 가정 밖 청소년 보호체계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제안」을 마련해 국민서명동의 캠페인과 함께 국회 및 관계 부처에 제출할 예정이다.
최창남 희망친구 기아대책 회장은 “가정밖청소년은 단지 ‘보호받아야 할 아이들’이 아니라 스스로 삶을 선택하고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립의 주체’”라며 “오늘의 논의가 정책 변화로 이어져 청소년이 보호의 공백이 아닌 연결의 공동체 안에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문선 기자 moonsun963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