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1인 가구 사회관계망 형성 지원…자기개발·심리상담도

기사승인 2021.09.14  15:40:53

공유
default_news_ad1

- 여가부, 아이돌봄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민간 육아도우미 범죄·병력 정보 제공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5월 28일 오후 인천 부평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해 영유아 및 학령기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들과 양육 애로사항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여성가족부 제공]

정부는 1인 가구에 자기개발이나 심리·정서 상담 등을 제공하고, 민간 육아도우미의 범죄·정신질환 병력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여성가족부는 1인가구가 국내 전체 가구의 31.7%를 차지하며 가장 비중이 큰 가운데 고립이나 우울감 등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1인가구의 사회관계망 형성지원을 위한 사업을 새로 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앞으로 1인가구는 전국 12개 지역의 가족센터를 통해 자기개발, 심리·정서 상담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청년 1인가구는 '자기 돌봄 관계 기술과 소통·교류 모임'을, 중장년 1인가구는 '서로 돌봄 생활 나눔 교육'을, 노년 1인가구는 '심리상담과 건강한 노년 준비 교육' 등을 받게 된다.

정부는 아이돌봄 통합 지원 플랫폼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민간 육아도우미의 범죄경력이나 정신질환 병력 등 건강 관련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자녀 연령과 부모의 근무시간 등을 고려해 다양한 돌봄 상황별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한다.

청소년부모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사례관리를 통해 자녀 양육방식 교육을 하고, 정서적 안정을 위한 심리상담 서비스, 법률 상담·소송대리 등도 지원한다. 저소득 청소년부모의 아이돌봄 서비스 비용은 정부가 90%까지 지원한다. 이에 따라 시간당 요금은 1만550원에서 1055원 정도 수준으로 내려갈 전망이다. 내년부터 저소득 한 부모에게는 근로·사업소득 30% 공제가 적용된다.

여가부는 다문화가족 가족 자녀와 일반 가정 자녀 사이의 교육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 학령기 자녀 사회포용 안전망 구축' 사업도 추진한다. 전국 140여개 지역센터에서 청소년 전문 상담가를 채용해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정 내 갈등, 학업 고민 등을 상담하고 진로·취업 자문을 제공한다.

취학 전 다문화가족 자녀에게는 읽기, 쓰기 등 기초학습을 지원한다. 여가부는 이에 따라 내년도 가족정책 예산을 올해보다 19.8% 증액된 8859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여가부 예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족정책 예산이 내년도 19.8% 증액 편성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더 많은 지원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1인가구의 고독과 고립을 방지하고 자녀양육과 돌봄 부담을 완화하며,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 등 다양한 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찬균 allopen@bokjinews.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