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4.5일제 도입 기업에 최대 80만원 지원
![]() |
정부가 10일 발표한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미취업 청년 발굴·상담 체계 같은 제도적 변화뿐 아니라, 구직자와 청년 근로자들이 바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도 담고 있다.
구직 단계에서는 지원금이 늘고, 취업 후에는 저축·근속 인센티브와 근로시간 단축 지원이 추가된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건 구직촉진수당 인상이다. 내년부터 월 5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올라 구직 기간 생활안정에 도움이 된다.
취업에 성공한 뒤에도 혜택은 이어진다. 정부는 ‘청년미래적금’을 신설해 청년이 월 최대 5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6%를 매칭해준다.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은 매칭 비율이 12%로 두 배 높다. 예컨대 월 50만원을 넣으면 정부가 6만~12만원을 얹어주는 구조다.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취업자는 근속 인센티브까지 받을 수 있다.
근로조건 개선도 포함됐다. 중소기업이 주 4.5일제를 도입하면 1인당 최대 80만원까지 정부가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전환 지원으로 노동환경도 개선된다. 채용플랫폼을 통해서는 ‘체불·산재·괴롭힘 없는 회사’ 정보가 공개돼, 청년들이 취업 전에 기업의 근로조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AI 기반 직무훈련을 확대해 2026년까지 1만명에게 AI 융복합 훈련을 제공하고, 이 중 2000명을 관련 직무로 연계한다는 목표다. 구직자가 “스펙은 있어도 실무 경험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응해, 기업 참여형 인턴·훈련 기회를 늘리는 ‘일자리 첫걸음 캠페인’도 병행한다.
노동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구직자가 당장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늘리고, 취업 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방점이 있다”며 “청년들이 ‘좋은 첫 직장’을 경험하고 장기 근속으로 이어가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희라 기자 heera293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