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장애인 자살 사망률, 전체 인구의 2배… “맞춤형 정책 개입 필요”

기사승인 2025.10.28  07:25:35

공유
default_news_ad1

장애인의 자살 사망률이 전체 인구의 두 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6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의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장애인의 자살로 인한 조사망률은 56.7명으로, 전년도의 10만명당 53.1 보다 3.6명 높아졌다. 이는 같은 해 전체 인구 자살 조사망률(27.3명)의 2.1배 수준이다. 조사망률이란 연간 자살 사망자 수를 그해 7월 1일 기준 인구로 나눈 수치를 10만 명 단위로 표현한 지표를 말한다.

장애인 중에서도 남성의 자살 조사망률(73.2명)이 특히 높았다. 여성 장애인의 자살 조사망률은 33.9명이었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의 자살 조사망률이 71.3명으로 가장 높았다. 20∼29세(25.3명), 30∼39세(37.9명), 40∼49세(62.3명)에서는 그보다는 자살 조사망률이 낮았지만, 자살이 각 연령층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할 정도로 빈번했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정신장애가 144.2명, 뇌전증 장애가 142.3명, 호흡기 장애가 136.2명으로 자살 조사망률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울산(74.1명)과 충남(73.8명)의 장애인 자살 조사망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장애인의 자살 생각을 줄이기 위해 장애인에 특화된 맞춤형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목원대 보건의료행정학과 권혜영 교수 등은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에 최근 게재한 논문에서 "장애인 집단의 작지 않은 규모와 이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취약성 및 높은 자살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의 자살 연구와 정책은 노인과 청소년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권 교수 등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자살 생각 가능성이 1.746배 높았다.

우울감,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수준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자살 생각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공통 요인이었는데, 장애인의 경우 결혼 상태와 취업, 음주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은 균등화 소득에 추가로 영향을 받았다.

연구팀은 "장애인의 취업은 사회 참여로 이어져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는 의미를 지닌다"며 "장애인의 취업과 주관적 건강 수준 등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중재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희라 기자 heera2939@naver.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