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5년 하반기 자작나무 회복캠프 활동 |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센터장 최성영)는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1박 2일간 ‘가을동행; 걷다·쉬다·머무르다 - 깊어가는 가을, 함께 걸으며 숨 쉬고 쉬어가는 우리’를 주제로 경기도 용인시에서 자살유족 회복캠프를 진행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자살유족을 위한 ‘자작나무(자살유족 작은희망 나눔으로 무르익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랑하는 사람을 자살로 사별한 자살유족의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고 동료 유족 간 공감과 위로를 나눌 수 있도록 매년 1박 2일의 자살유족 회복캠프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이 27번째를 맞은 유족캠프에서는 같은 경험을 가지고 사회적 편견을 버텨 온 유족을 만나고, 수년째 애도 과정을 걸어온 유족 동료지원가들이 진행하는 다양한 치유 활동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고인을 추모하는 1박 2일간의 시간을 함께 보내며 서로 위로하는 시간을 보냈다.
함께 참여한 40명의 유족은 △자연 속에서 동료들과 함께 걷고 일상을 나누며, 고인에게만 머물던 시선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 나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하고 돌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고인을 잠시 가슴에 간직한 채 자신을 돌보고 일상을 살아가는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앞으로의 삶을 용기와 희망으로 이어갈 수 있는 계기를 얻게 됐다고 밝혔다.
동료지원가는 △캠프에 참여하는 유족들과 관계 형성 및 소통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을 마련했으며, △고인별 자조모임(부모, 자녀, 배우자, 형제자매)에서 같은 고인을 대상으로 상실을 경험한 유족들과 삶을 공유하며 서로가 느끼는 애도반응에 대해 공감하고, △러닝, 타로, 스트레칭, 미술 활동 등을 통해 애도소모임을 운영하며 스트레스완화와 자기돌봄의 시간을 마련했다.
함께 참여한 유족 C는 “회복캠프를 통해 다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은 잊지 못할 시간이었다.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낸 이후 고인에 대한 기억과 생각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지만, 이번 캠프에서 ‘지금 이 순간(here & now)’에 머무르며 현재를 깊이 있게 느낄 수 있었다. 그 시간을 통해 앞으로도 하루하루를 더 충실히 살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캠프를 통해 마음을 정리하고, 많은 위로와 치유를 받은 뜻깊은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살유족 회복캠프는 연간 상·하반기 1회씩 총 2회 운영되며,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유족지원팀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3년 전 아버지를 자살로 떠나보낸 유족 A씨는 당시 학생 신분으로, 자신의 고통과 아픔 속에서 가족과 함께 아버지를 애도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아버지의 삶과 남겨진 가족의 아픔을 마주하고 싶은 마음이 생겨 이번 회복캠프에 참여하게 됐다.
A씨는 “특히 이번 캠프는 오랜 시간 슬픔을 나누지 못했던 어머니와 함께 참여해 고인에 대한 추억을 나누고, 같은 경험을 가진 유족들과 자살유족으로 느끼는 죄책감을 내려놓고 지인 및 가족들과 이야기 할 수 없는 감정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나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동료유족의 애도와 회복을 돕는 동료지원가 B씨는 이번 캠프에서 처음만나는 유족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프로그램에 진행자로 참여했다. B씨는 “처음에 자작나무에 참여하기 어려운 마음을 가지고 오신 유족분들과 캠프를 통해 소통하고 마음을 내려놓고 이야기할 수 있어서 서로가 따듯한 위로가 되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임문선 기자 moonsun9635@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