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1일 서울여성플라자 국제회의장 ‘피움서울’에서 개최한 「저출생 대응을 위한 가족친화정책 한·일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지난 1일 오후 1시부터 4시 30분까지 서울여성플라자 국제회의장 ‘피움서울’에서 개최한 「저출생 대응을 위한 가족친화정책 한·일 국제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학계, 정책 관계자, 산업계,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양국의 저출생 대응 전략과 실행과제를 공유했다.
이명선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이번 포럼의 취지와 방향을 제시했다. 이 이사장은 “단순한 출산율 제고가 아닌 자녀를 갖고 싶은 청년세대가 직면하는 다양한 요인을 아우를 수 있는 가족친화적 정책대안이 필요하다”며, 이번 포럼이 “아시아 주요 도시와의 지속적 협력으로 확산되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조강연에서 오구라 마사노부 전 일본 저출생담당 장관이 일본의 ‘다른 차원의 저출생 대책’을 소개하며, 예산 증액, 임신·출산부터 대학까지 이어지는 생애주기별 지원 확대, 청년 고용 안정과 성별 고정 역할 개선, 아동친화정책 등 종합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발표 세션에서는 한·일 전문가들이 각국이 직면한 저출생·인구 감소의 원인을 분석하고, 청년 고용·주거 안정, 일·가정 양립 지원, 가족친화 문화 조성 등 다양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 측에서는 이상림 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초저출산·고령화 심화 상황을 진단하며 인구 전략 전환의 필요성을 역설했으며, 강은애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책임연구원이 「탄생응원서울 프로젝트」를 비롯해 일생활 균형 직장문화 조성, 주거·돌봄 지원 등 서울시의 구체적 정책과 실행 전략을 공유했다.
일본 측에서는 야마사키 시로 일본 내각관방 참여가 인구 감소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장기적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나가이 아키코 일본여자대학교 교수가 일본의 저출생 대응 정책 변천을 소개하며 여성·가족 지원 확대 방안을 설명했다.
종합토론에서는 학계·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저출생 대응을 위한 사회적 인식 전환과 제도적 혁신, 그리고 국가·지역·기업 간 협력 강화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저출생 대응은 단순한 출산 장려가 아닌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구조적 혁신 과제”임을 재확인했다.
박정숙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폐회사를 통해 “오늘의 논의가 서울시 정책의 밑거름이 되어 시민의 삶을 바꾸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며, “정례 포럼, 공동 연구 자문 등 한·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동아시아 저출생 대응 모델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을 통해 한국과 일본 전문가들은 ▲가족친화 문화 조성, ▲일·가정 양립 기반 확대, ▲청년 세대 고용·주거 안정, ▲동아시아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핵심 실행과제로 제시했다.
임문선 기자 moonsun963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