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 정책의 성평등 관점 강화 위한 첫걸음"
![]() |
성평등가족부는 오는 20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여성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는 ‘여성노동연대회의’ 관계자들과 현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2022년 7월 출범한 여성노동연대회의는 한국여성노동자회·한국여성민우회·한국여성단체연합·전국여성노동조합·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 등 6개 여성노동단체 연대기구다.
이번 간담회에서 성평등부는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와 성별근로공시제, 새일센터 집단상담 사업 등고용노동부로부터 이관된 사업에 대한 현황과 추진 계획을 공유하고 향후 고용평등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현장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경력단절 여성 규모는 2020년 150만 6000명에서 지난해 121만 5000명으로 줄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여건은 다소 개선된 상태다. 다만 성별 임금 격차는 2023년 기준 29.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1.3%보다 큰 상태이고 지난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율은 여성(47.3%)이 남성(30.4%)보다 높아 구조적 성차별 문제가 여전하다고 평가된다.
성평등부는 고용부 업무 이관을 계기로 성별임금 격차 완화, 양질의 일자리 진출 등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지원 강화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이번 현장소통 간담회는 고용노동 정책의 성평등 관점 강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노동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여성이 차별 없이 동등한 기회와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성평등부의 정책 조정·지원 기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여성 노동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여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덧붙였다.
김희라 기자 heera293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