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서울시,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능력 펼치는 우먼업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기사승인 2025.02.10  13:26:18

공유
default_news_ad1

- 올해 2500명에 ‘구직지원금’ 지원, 경력진단부터 코칭까지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 육아로 8년 간 경력이 단절됐던 김ㅇㅇ씨는 외국에서 대학을 나오고, 대기업에서 12년 간 일한 경력이 있었으나, 경력단절이 길어질수록 ‘나를 받아주는 회사가 있을까?’라는 생각에 구직활동을 하지 못했다. 그러던 중 용기 내 지원한 ‘서울우먼업프로젝트’ 구직지원금에 선정된 후 ‘나도 할 수 있겠다’ 라는 자신감이 생겼고, 여러 회사에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원하던 회사에 재취업까지 성공했다. (40대, 마케팅 업무)
# 또 다른 서울우먼업 인턴십 참여자 김△△씨도 5년의 경력단절을 딛고 재취업에 성공했다. 김 씨는 “육아 때문에 종일 근무가 어려운 상황인데 유연 근무가 가능하다는 점이 특히 좋았다.”고 말했다. 인턴십을 통해 새로운 업무 툴을 활용하는 업무 환경에서 일해 본 경험은 재취업 성공에 큰 도움이 되었다. 길었던 경력단절로 다시 일터로 나오는 것조차 두려웠던 이들은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서울우먼업프로젝트로 사회에서 ‘나의 가치’와 ‘일과 생활의 행복’을 찾았다고 입을 모았다. (30대, 경영관리 업무)

최근 서울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경제활동참가율이 꾸준히 상승하는 가운데(2022년 54.8%→2024년 57.6%), 서울시 경력단절여성 수도 2022년 22만 명에서 2024년 17만 명으로 약 5만 명이 줄었다. 또한 서울시 여성 고용률도 2022년 53.7%에서 2024년 54.9%로 1.2%p 증가했다. 

서울시는 10일 저출생 극복을 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경력단절여성이 경력을 살리고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취·창업을 지원하는 ‘서울우먼업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우먼업 프로젝트'는 3040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구직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우먼업 구직지원금’(30만 원×3개월), 3개월간 기업에서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우먼업 인턴십’(서울형 생활임금×3개월), 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우먼업 고용장려금’(300만 원)으로 구성된다. 

지난 2023년 첫 발을 뗀 이후 지금까지 취업지원 서비스를 받은 경력단절여성 1,878명(구직지원금 1778명, 인턴십 100명)이 취‧창업에 성공해 다시 경제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2024년 구직지원금 참여인원 2598명 중 경력단절 기간이 1년 이상인 여성이 76.4%로, 비경제활동인구인 경력단절여성이 경제활동인구로 유입됐으며 참여자의 월평균 구직활동 횟수도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서울시는 ‘서울우먼업 프로젝트’ 도입 3년을 맞아, 올해는 사업내용을 더욱 업그레이드해 총 2620명의 경력단절여성을 지원한다.

출산·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유연근무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정해서 인턴십을 모집하며, 1년 이상 근로계약으로 취업 연계를 강화하는 채용플러스형 인턴십 유형도 추가했다. 

또한, 여성인재의 IT 분야 진입을 지원하는 ‘우먼테크교육플랫폼’과 연계하여 인턴십 전 AI, 오피스프로그램 등 직무 활용도가 높은 실무 교육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며 26개 여성인력개발기관과 협업하여 자격증 전문 강좌를 비롯한 맞춤형 구직활동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먼업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궁금증 해소와 지원서류 작성 등 도움을 받고 싶다면 사업설명회에서 자세한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오는 20일 서울가족플라자에서 진행되며,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우선, 서울시는 올해 ‘서울우먼업프로젝트’의 시작으로 오는 11일 ‘우먼업 구직지원금’ 신청을 개시한다.

1차 모집은 2월 1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우먼업’ 누리(www.seoulwomen.or.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는다. 2차 모집은 6월에 있을 예정이다.

지원 조건은 서울시 거주하는 만 30~49세 미취창업 여성이며, 중위소득 150% 이하이다. 주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경우 미취업자와 동일하게 신청 자격이 주어진다.

1차 모집은 심사를 거쳐 1800명을 선정한다. 선정여부는 3월 20일 안내받을 수 있고,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 방문을 통해 구직등록 및 경력지원 계획 수립을 위한 상담을 필수 완료한 이후 구직지원금이 지급된다.

구직지원금은 3개월에 걸쳐 매월 구직활동 이행 및 확인 후, 월 30만 원씩 지급(최대 3개월, 우먼업 포인트로 지급)되며, 구직지원금을 받는 중 취창업에 성공한 경우에는 취창업성공금 30만원도 지급한다.(구직지원금 포함 최대 90만원)

구직지원금 신청 후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에 구직 등록을 하면 우먼업 상담사와 1:1 상담을 통해 진로상담 후 경력단절 기간, 경력 조건, 전직 희망 여부 등 특성에 따라 맞춤형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업훈련교육 등 취업지원 서비스를 활용해 취업에 필요한 직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서울시 26개 여성인력개발기관에서는 정보통신(IT), 경영·회계, 사회복지, 보육, 문화·예술·디자인, 서비스 분야 등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교육뿐 아니라 전문 직업상담사의 진로‧취업상담을 받을 수 있고, 일자리 매칭 등 사후관리도 지원한다.

우먼업 인턴십은 직업훈련교육 수료, 자격증 취득 등 취업 준비를 마친 경력단절여성에게 3개월 간 기업 인턴기회를 제공해 취업 연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120명을 선정해 지원한다. 2월 기업 모집을 시작으로 3월에는 인턴십 참여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서울우먼업 인턴십’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2월11일부터 2월28일까지 서울우먼업 누리집에서 신청가능하며 4월 중 심사를 거쳐 매칭되고, 인턴 기간에는 ‘서울형 생활임금’을 지원받는다.

인턴십 참여자의 인건비(3개월, 프로젝트형은 2개월) ‘서울형 생활임금’은 2025년 시급 1만1779원이며(월 246만원) 서울시가 지원한다. 올해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의 경우 ‘서울우먼업’ 누리집을 통해 인턴십 사업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저출생 극복 및 중소기업 일생활 균형 확산을 위해 시간선택제 등 유연근로제를 도입한 기업을 모집하며 주 20~30시간 근무 가능한 프로젝트형 인턴십, 유능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1년이상 근로 계약 하는 채용플러스형 인턴십도 도입했다. 

‘우먼업 인턴십’과 연계해 추진하는 ‘우먼업 고용장려금’은 인턴십 종료 후 인턴십 참여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1년 이상 계약한 기업에 총 300만 원을 지급하며, 올해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올해 3년 차에 접어드는 ‘서울우먼업프로젝트’를 통해, 출산과 육아로 부득이하게 경력이 단절된 3040 여성 누구나 자신의 경력과 능력을 살리고 취창업에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윤희 기자 bokji@bokjinews.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